작가 노트
Biography
'받아들임(수용)'의 한 과정으로서 내적 경험을 표현하고 있다. 개인적 목표는 작업을 통한 내면의 발산과 다짐이었으나, 작품을 통해 나의 내면을 완성해 가면서, 누구나 느끼는 감정과 생각들을 공유하고 공감하려 한다.
나는 작품을 통해 내적 경험을 표현하면서 내면의 경험을 알아차리고 궁극적으로는, 어떤 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받아들임(수용)’을 실천하고자 한다. 어떤 감정인지, 무엇을 느끼는지 등을 알아차리고 언어화하는 ‘관찰하기’ 과정을 작업 과정으로 대체한다.
하나의 회화를 ‘나’ 자신이라 한다면, 지지체는 나의 마음이 되고 긁개나 붓질 등은 이미지화된 나의 내면을 표출하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 그것으로 나의 감각이나 감정, 불안정함 등이 표현되어, 나는 작품을 통해 나의 내면을 시각화한다. ‘관찰하기’의 언어화 과정을 시각화로 대체하여, 나는 시각화된 작품을 경험하면서 나의 내적 경험을 알아차린다. 이러한 ‘관찰하기’ 과정을 통해 ‘받아들임’에 가까워져 간다.
작가 본인이 겪었던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법에 기초한 심리치료 과정을, 이러한 작업으로 가져와 작가 자신의 치유뿐 아니라 관객의 평안을 기원하는 바람을 담는다. 관객은 작품을 통해 명상할 수 있고 작품을 체화하며 깊이 있는 내적 경험을 한다. 일종의 심리치료 혹은 ‘받아들임’을 향해 가는 수행(修行)으로서 작업을 시도하고, 나와 타인의 치유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작품을 완성하고자 한다.
나는 명상, 수행(修行) 또는 심리치료로서 작업한다. 관객 또한 회화로서의 작품 또는 작품으로서의 공간에서 명상할 수 있고 작품을 체화하며 깊이 있는 내적 경험을 한다. 전시된 작품을 작은 요소로 본다면 회화라고 할 수 있으나, 공간 전체를 본다면 설치물이기도 하다. 설치물로서의 회화를 연구하고, 그것을 전시장에 설치해보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자 한다. 회화적 요소와 설치적 요소를 이용해 공간 전체가 작품이 되는 작업을 완성한다.
포트폴리오 Portfolio
한국어
English
I have been expressing the internal experience of a process of “acceptance.” My personal goal was the expression and determination of my inner self through my works. But ultimately I want to share and feel the emotions and thoughts which can be felt by anyone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ng my inner self by making artworks.
I want to become aware of what I experience inside by expressing my inner experiences through my works, and ultimately, I want to practice “acceptance,” acknowledging things for what they are. My process of work is “observance,” in which I become aware of and verbalize what I feel and what I think about, and more.
If I define a painting as “myself,” the support for it is my inner self, and actions, such as scraping and brushing, are the means of expressing myself as images. Expressing my sensations, feelings and unstableness, among others, enable me to visualize my inner self through my works. I exchange the process of verbalization of “observance” for visualization, and I experience visualized works to become aware of my inner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observance,” I become closer to “acceptance.”
By applying to my work what I learned from psychotherapy based on mindfulness, I hope to comfort my spectators as well as to healing myself. The spectators can meditate through my works and have deep inner experiences by involving themselves with them. I attempt to carry out my work as a certain type of psychotherapy or a practice that heads towards “acceptance” and try to complete works that can heal myself and others.
I view my work as meditation, practice, or psychotherapy. The spectators can also meditate through my works as paintings, or within the space of the artwork, and have deep inner experiences as they involve themselves. If you see the exhibited works as small elements, they can be called paintings; if you see them as a whole space, they are installations. I try to study paintings as installations and make a variety of attempts by installing them at exhibition halls. My work is completed when the whole space becomes a piece of art, using pictorial elements and installation elements.
포트폴리오 Portfolio
한국어
English